Posts

Monday, 6 January 2020

A Puzzle of Clever Connections Nears a Happy End

Happy Ending Problem은 5개의 주어진 점이 있고 어떤 세 점도 한 줄 위에 있지 않다면 볼록 다각형인 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볼록다각형인 오각형, 육각형 혹은 11각형을 만들어야 한다면 얼마나 많은 점이 필요할까?

세 명의 젊은 수학자는 3,4,5각형일 때의 경우를 풀었다. 5개의 점이 4각형을 만들고, 9개의 점이 5각형을 만들 수 있다. 그들은 2^(n–2) + 1개의 점이 볼록 다각형 n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것을 증명하는데에 $500를 걸었다.

몇십년이 흐르는 동안, 17개의 점이 볼록다각형 6각형을 보장한다는 것 외에 진전이 없었다. 그리고 이 문제가 나타난지 80여년이 지나서야 드디어 2^(n–2) + 1개의 점이 볼록 다각형 n각형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Split Shapes

이 문제는 볼록다각형을 만드는 변들을 찾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935년의 논문에서 그들은 u shape모양을 Cup라고 하였고, n shape 모양을 Cap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볼록다각형을 만들 때는 cup 위에 cap을 붙이면 된다. 이를 이용하면, 볼록다각형을 확장할 때 어떤 것을 붙일지를 통해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들은 이 논문에서 컵-캡 정리를 증명했다. 컵-캡 정리는 점이 적어도 몇 개 필요한지 컵 또는 캡의 사이즈를 정하기 전에 알려준다. 게다가 Happy Ending Problem의 상한을 정할 수 있다. 그들은 이 정리를 통해 4^n개의 점이 n sided convex polygon을 만든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이 상한은 여전히 크다.

Sorting Spikes

Andrew Suk은 Ramsey Theory에 집중했다. 문제에 Ramsey Theory를 적용하면, 잘 정리된 볼록다각형의 point set을 얻을 수 있다.


The mathematician Andrew Suk has used tools from Ramsey theory to get close to proving the 82-year-old “happy ending” conjecture, which states that a convex polygon with n sides can always be formed if you have at least 2(n–2) + 1 points. 
1. Suk starts with a large number of points. 2. He then divides the points into subsets called “spikes” that are arrayed around a convex “hull.” Spike
Hull

3. Suk finds structured sets of points within each spike: either chains (blue), which ru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hull, or antichains (red), which run parallel to it.
 Antichain Chain 4. He uses Ramsey theory to show that points from every possible arrangement of chains and antichains can always be combined in some way to make an n-sided polygon. Selected antichains 10-sided convex polygonThe mathematician Andrew Suk has used tools from Ramsey theory to get close to proving the 82-year-old “happy ending” conjecture, which states that a convex polygon with n sides can always be formed if you have at least 2(n–2) + 1 points. 
1. Suk starts with a large number of points. 2. He then divides the points into subsets called “spikes” that are arrayed around a convex “hull.” Spike
Hull

3. Suk finds structured sets of points within each spike: either chains (blue), which ru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hull, or antichains (red), which run parallel to it.
 Antichain Chain 4. He uses Ramsey theory to show that points from every possible arrangement of chains and antichains can always be combined in some way to make an n-sided polygon. Selected antichains 10-sided convex polygon

Suk의 작업은 Erdős and Szekeres’ conjecture 가 거의 맞다는 것을 보여줬다. 기존의 상한은 4^n이었던데 반해, Suk은 상한을 2^(n+6n^(⅔)log n) 까지 제한하는데 성공했다.

To Divide the Rent, Start With a Triangle


작년에 나는 두명의 친구와 함께 맨해튼에 있는 방 3개 짜리 아파트로 이사했다. 월세도 합리적이었고, 위치가 특히 편했다. 집을 구하는 것도 힘들었지만 우리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했다. 바로 누가 어떤 방을 쓸 것인가에 관한 것이었다.

각 방은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두 방은 거리를 향한 북향이고 가장 작은 방은 뒷골목을 향했다. 가장 큰 방은 두 개의 창문이 있고, 두번째로 큰 방은 화재대피로와 연결된다.

사람들은 주거비를 아끼기 위해 전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과 살기도 한다. 월세를 똑같이 나눌지, 방 크기에 따라 나눌지 아니면 수입에 따라 나눌지도 정해야 한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공평하게 나누는 법을 연구했다. 연구자들은 어떤 방법에도 만족하지 못했다.

문제는 개개인이 각 방을 다르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나는 자연광을 굉장히 고려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옷장을 갖는 것보다 가치가 있는 일인지? 어떤 이는 방 모양을, 다른 이는 화장실 유무를 더 크게 고려했다.

방의 크기나 각 개인의 선호도를 전부 고려하지 못하다 보니 뾰족한 수가 없는 협상은 갈등과 서운함만을 불러올 뿐이었다.

나는 우리의 월세를 나누는 더 좋은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했다. 그렇게 Harvey Mudd 대학의 수학 교수인 Francis Su의 논문까지 보게 되었다. 수학적으로 어떻게 분할할 것인가를 고민한 Sperner’s lemma에 관한 논문이었다.

Su 박사는 1999년 논문 "Rental Harmony : Sperner’s Lemma in Fair Division."(조화로운 월세 내기 : Sperner’s lemma를 적용한 공평한 나누기)에서 Sperner’s lemma와 월세 나누기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그는 하버드에서 박사학위를 마칠 때 쯤 이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의 친구가 나와 똑같은 곤경에 처해 있었고, 그에게 조언을 구했기 때문이다.

Su 박사는 어쩌면 이 문제가 자신이 들어본 다른 문제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 new blog ]

new blog https://jihyo-jeon.github.io/